관절 통증에 대한 항우울제. osteochondrosis 치료의 항우울제 : 왜 필요한지, 복용 방법, 약물 개요 항우울제로 통증 치료

  • 14.02.2021

지난 수십 년 동안 다양한 유형의 통증 증후군 환자의 치료에서 항우울제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론적 품질의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임상 연구가 수행되었습니다. 만성 비특이적 및 특정 통증 증후군의 배경, 특히 골관절염 및 류마티스 관절염, 섬유염, 섬유 근육통의 배경에 대한 항우울제의 효과가 나타났습니다(Fishbain D., 2000)(Strumpf M., 2001).

저용량을 포함한 삼환계 항우울제 아미트립틸린은 가장 많이 처방되는 항우울제 중 하나입니다(Lockhart P., 2011). Orbai A.M. 및 Meyerhoff J.O. 는 아미트립틸린을 포함한 저용량 삼환계 항우울제로 만성 요통 및 요추 협착증 환자를 치료한 결과에 대한 후향적 분석 결과를 발표한 리뷰를 발표했습니다. 따라서 26명의 환자 중 20명은 통증 증후군의 양상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대부분의 환자는 아미트립틸린 또는 노르트립틸린을 10mg 용량으로 복용했을 때 이미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추가 치료 동안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되었습니다. 요통 환자의 수는 다리에 방사선 조사와 함께 증상 사진의 개선과 함께 요통만 있는 환자 수에 비해 유의하게 더 많았다. 따라서 삼환계 항우울제는 요추 척추관 협착증 환자 집단에서 통증을 조절하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Orbai A.M., Meyerhoff J.O., 2010).

8주 동안 50-150ng/mL 용량의 삼환계 항우울제 노르트립틸린을 투여한 만성 요통 남성 78명을 대상으로 한 무작위, 이중 맹검, 위약 대조 연구에서 통증 강도와 특성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했습니다. ( 디스크립터 미분 스케일) 및 장애( 영향 프로필). 건강 관련 삶의 질 평가에서 상당한 차이( 웰빙 척도의 질) 감정 ( Beck 우울증 검사, Spielberger State Anxiety Inventory, Hamilton 불안/우울 평가 척도) 및 연구자가 평가한 통증의 임상 결과(Clinical Global Impression)는 노르트립틸린 그룹과 위약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습니다. 따라서, 노르트립틸린의 진통 활성의 존재는 위약과 비교하여, 항우울 효과와는 독립적으로 확인되었다(Atkinson J.H., Slater M.A., Williams R.A., 1999).

따라서 한 심리 측정 연구에서는 항우울제 클로미프라민으로 치료한 만성 요통 환자의 반응에 대한 심리적 요인의 잠재적 영향을 평가했습니다. 이 연구는 연구의 처음 10일 동안 항우울제를 정맥 주사한 후 20일 동안 정제를 경구로 투여받은 만성 요통으로 입원한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했습니다.

검증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심리 테스트를 수행했습니다. 미네소타 다면적 성격 목록.또한 0, 4, 10 및 30일에 테스트를 사용했습니다. 생 앙투안 설문지, 당신의, Schöber의 기동그리고 종합검진을 받았다. 따라서 초기에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환자들은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MMPI이는 hypochondria, 우울증 및 히스테리의 존재를 나타냅니다. 이 점수는 연구 30일까지 환자의 76%(n=23)에서 유의하게 감소했습니다.

높은 hypochondria 및 히스테리 점수를 가진 13명의 환자 중 5명은 입원 기간 동안 이러한 점수가 크게 떨어졌고 집에 돌아온 후 기준선으로 돌아갔습니다. 따라서 clomipramine 치료에 대한 반응은 우울증이 없는 환자에서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더욱이, hypochondria와 히스테리는 항우울제 치료에 대한 반응의 가장 좋은 예측 인자입니다. 이러한 데이터는 항우울제 치료에 대한 최대 반응을 입증할 수 있는 만성 척추 통증 환자를 선택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Fouquet B., 1997).

또 다른 임상 연구에서는 만성 척추 통증과 정동 또는 기분 저하 장애가 있는 36명의 지원자를 치료할 때 각각 188mg/일 및 173mg/일 용량에서 독세핀과 데시프라민의 효과를 비교했습니다. 두 항우울제를 모두 사용한 치료는 우울 증상의 유의미한 감소(70%)와 관련이 있었습니다. 통증 강도도 두 그룹에서 감소했습니다(환자의 50%에서 응답). 동시에 doxepin 군에서 통증의 심각도가 더 집중적으로 감소했습니다. 뇌척수액의 β-엔돌핀 수치는 치료 기간 동안 변하지 않았습니다(Ward N., 1984). 또 다른 무작위 시험에서 독세핀은 자율 신경계(항콜린성 효과)와 진정 작용에서 부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Amsterdam J.D., 1982).

해머로프 S.R. et al. 는 3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만성 요통 및 목 통증 치료에서 독세핀의 효능을 평가한 6주간의 무작위 이중 맹검 임상 시험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따라서 항우울제 치료는 우울증의 증상을 상당히 개선시켰습니다. 해밀턴 우울증 점수), 통증의 정도( 글로벌 평가 척도 점수), 환자의 활동에 대한 통증의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고 수면과 근육 긴장을 개선합니다.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 중 일부는 치료 시작 후 1주일 이내에 나타났습니다. 연구에서 독세핀의 용량은 200mg/일이었고, 지원자의 혈장에서 독세핀과 그 대사물질인 노르독세핀의 농도는 평균 80ng/ml였습니다.

독세핀 요법은 부작용과 관련이 없었습니다. 뇌척수액의 β-엔돌핀 및/또는 엔케팔린 농도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습니다(Hameroff S.R., 1984). 따라서, 독세핀은 우울증과 관련된 만성 통증이 있는 환자의 치료에서 잠재적인 보조 진통제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Aronoff G.M., Evans W.O., 1982).

보로비에바 O.V. 및 Akarachkova E.S. 는 항우울제 tianeptine(Coaxil®)을 12.5mg 1일 3회 투여한 만성 등쪽통 환자 20명의 임상 관찰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심리 측정 테스트 결과에 따르면 환자의 90%가 우울증의 징후를 보였습니다. 6주 동안 tianeptine을 사용한 치료는 우울증의 감소, 근육 기능 장애 및 통증의 약화와 관련이 있었습니다. 자율신경 기능 장애, 수면 장애 및 삶의 질에서도 긍정적인 경향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저자는 tianeptine이 만성 요통의 배경에 대해 우울증을 치료하는 매우 효과적이고 안전한 방법이며 통증 증후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Vorobeva O.V., Akarachkova E.S., 2004).

러시아에서 실시된 한 공개 비교 연구에서는 척추인성 배측병증과 관련된 아급성 또는 만성 통증이 있는 4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8주간 75mg/day 용량으로 지속형 벤라팍신(Velaxin)의 효능과 내약성을 평가했습니다. 항우울제의 진통 작용 강도는 척도의 평균 점수를 기반으로 평가되었습니다. 당신의그리고 VPS 34, 설문지별 일일 활동 제한 수정된 통증 장애 설문지(mPDQ)불안과 우울 점수를 측정했습니다.

통증 증후군의 치료를 위해 주로 삼환계 항우울제 아미트립틸린을 포함하는 항우울제가 사용되었습니다. 불행히도 통증 증후군에서의 사용은 부작용으로 인해 제한적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전문가의 관심은 새로운 세대의 약물, 특히 더 유리한 안전성 프로파일을 가진 벤라팍신에 끌렸습니다. 이 검토는 다양한 통증 증후군에서 이 약물의 사용에 관한 임상 및 병태생리학적 데이터를 요약합니다.

만성 통증에 대한 항우울제의 사용

주요 우울 장애 및 범불안 장애는 종종 만성 통증 증후군을 동반합니다. 이러한 증후군의 예로는 요통, 두통, 위장 통증 및 관절 통증이 있습니다. 또한 우울증 및 불안 장애(당뇨병 및 대상포진 후 신경통, 암 통증, 섬유근육통)와 관련이 없는 여러 통증 증후군은 치료에 큰 어려움을 나타냅니다.

주요우울장애와 범불안장애와 통증 및 비통증 신체적 증상 사이의 연관성은 오랫동안 임상의들에 의해 지적되어 왔습니다. 한 국제 연구에서 초기 검사에서 주요우울장애 환자의 69%가 신체적인 불만만 있었고 정신병리학적 증상은 하나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신체적 증상의 수가 증가하면 환자가 우울증이나 불안 장애를 가질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요 우울 및 범불안 장애 외에도 통증은 섬유근육통, 과민성 대장 증후군, 만성 골반통, 편두통, 외음부 통증, 간질성 방광염, 측두하악 관절 증상의 주요 불만 중 하나입니다. 일부 연구자들은 주요 우울 장애, 범불안 장애, 사회 공포증, 섬유근육통, 과민성 대장 증후군 및 편두통과 같은 정동 스펙트럼 장애가 공통적인 유전적 소인을 공유할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만성 통증과 우울증 사이의 정확한 인과 관계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지만 다음과 같은 가설이 제시되었습니다. 우울증은 만성 통증의 결과입니다. 만성 통증이 시작되기 전에 발생하는 우울증 에피소드는 만성 통증이 시작된 후 우울 에피소드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부적응적 대처 전략과 같은 심리적 요인은 우울증과 만성 통증 사이의 상호 작용에 기여합니다. 우울증과 통증은 유사한 특성을 갖지만 별개의 장애입니다.

수많은 연구에서 우울증 치료에 사용되는 이중 작용 항우울제(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 SSRI 및 노르에피네프린)도 만성 통증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삼환계 항우울제(아미트립틸린, 클로미프라민) 및 벤라팍신 또는 세로토닌성 및 노르아드레날린성 항우울제의 조합과 같은 이중 작용 약물은 단일 신경 전달 물질 시스템에 주로 작용하는 항우울제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플루옥세틴(세로토닌의 압도적인 증가로 인한)과 데시프라민(노르아드레날린의 압도적인 증가로 인한)은 데시프라민 단독 요법보다 더 빠르고 더 나은 치료 효과를 유발합니다. 또 다른 연구에서 클로미프라민(이중 작용 항우울제)은 모노아민성 항우울제(시탈로프람 또는 파록세틴)를 복용한 환자 그룹과 비교하여 사례의 57-60%에서 우울증의 관해를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환자의 22-28%만 관해) ). 25개의 이중 맹검 연구에 대한 메타 분석에 따르면 이중 작용 항우울제(클로미프라민 및 아미트립틸린)가 단일아민성 삼환계 항우울제(이미프라민, 데시프라민) 및 선택적 세로토닌 억제제(플루옥세틴, 플루복사민, 파록세틴, 시탈로프람)보다 더 효과적이었습니다.

선택적 세로토닌 억제제(파록세틴, 플루옥세틴, 플루복사민)와 비교하여 벤라팍신의 효능을 조사한 8건의 임상 시험을 분석한 결과, 치료 8주 후 관해율은 벤라팍신으로 치료받은 환자군(45%)이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35%) 또는 위약(25%)을 받은 사람들.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에 대한 이중 작용은 만성 통증 치료에 더 두드러진 효과를 나타냅니다.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 모두 하행성 통증 경로를 통한 통증 조절에 관여합니다. 이것은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만성 통증 치료에 이중 작용 항우울제의 이점을 찾는 이유를 설명합니다. 항우울제가 진통 효과를 일으키는 정확한 작용 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중 작용 기전을 가진 항우울제는 아민 시스템 중 하나만 작용하는 항우울제보다 진통 효과가 더 깁니다.

벤라팍신으로 치료

통증 증후군에서 삼환계 항우울제의 사용은 무스카린, 콜린성, 히스타민에 대한 삼환계 항우울제의 친화성과 관련된 진정, 인지 장애, 기립성 저혈압, 심장 부정맥, 구강 건조, 변비와 같은 수많은 부작용으로 인해 제한됩니다. α1-아드레날린성 수용체.

Venlafaxine은 삼환계 항우울제와 마찬가지로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억제하지만 무스카린, 콜린, 히스타민 및 α1-아드레날린 수용체에 대한 친화력이 없기 때문에 더 유리한 안전성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습니다. Venlafaxine은 여러 동물 모델, 건강한 지원자 및 다양한 통증 증후군 환자에서 효과적이고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E. Lang et al. 벤라팍신의 사용은 좌골 신경의 외과적 압박으로 인한 통각과민의 증상을 감소시켰습니다. 효과는 벤라팍신의 예방적 투여(수술 전)와 수술 후 벤라팍신의 사용 모두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신경병성 손상이 발생한 후. 또 다른 연구에서 벤라팍신의 단일 용량은 정상 쥐에게 효과가 없었지만 만성 좌골 신경 압박이 있는 모델에서는 통증 역치의 증가가 관찰되었습니다. 다중 용량 연구에서 벤라팍신은 건강한 쥐와 만성 좌골 신경 압박이 있는 쥐에게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효과는 α-메틸-p-티로신(노르에피네프린 합성 억제제) 및 파라클로로페닐알라닌(세로토닌 합성 억제제)에 의해 억제되었지만 날록손(오피오이드 길항제)에 의해 억제되지 않았으며, 이는 벤라팍신의 특정 작용 기전을 나타냅니다. 오피오이드 신경전달물질 시스템.

빈크리스틴 유발 신경병증이 있는 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통합적 척추 상부 통증 반응(발 압력에 대한 발성 및 척추 C 섬유 침해수용성 유발 반사)이 평가되었습니다. 결과는 벤라팍신이 발 압력 테스트 동안 발성 역치의 용량 의존적 증가와 C-섬유 유발 반사의 적당하지만 용량 의존적 억제를 유도함을 보여주었습니다. 따라서, venlafaxine의 항통각과민 효과에는 척수상 기전과 척수 기전이 모두 관여할 수 있습니다. 편측성 단일신경병증의 쥐 모델에서 트라마돌과 함께 벤라팍신은 벤라팍신 단독, 트라마돌 단독 또는 위약과 비교하여 통증 역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사실은 벤라팍신이 아편유사제의 항통각수용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벤라팍신의 효과를 연구하기 위한 또 다른 모델에서, 약물의 복강내 투여 후 마우스에서 용량 의존적 항통각수용 효과가 입증되었습니다. 간접적인 수용체 분석은 벤라팍신이 α2-아드레날린성 수용체 뿐만 아니라 k-아편유사제 및 o-아편유사제 수용체 하위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연구는 오피오이드 시스템과 벤라팍신의 관련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인간에 대한 벤라팍신의 진통 효과는 무작위 이중 맹검 교차 연구에서 16명의 건강한 지원자 그룹에서 연구되었습니다. 벤라팍신으로 치료받은 피험자에서 단일 전기 자극 후 통증 역치가 유의하게 증가했습니다. 냉기 테스트와 통증 압력 테스트 동안 통증 역치의 유의한 변화는 없었습니다.

만성 통증 증후군 환자에서 벤라팍신의 효능에 대한 수많은 연구도 수행되었습니다. 또한 통증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는 주요우울장애로 진단받은 19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벤라팍신의 효능과 안전성을 조사하기 위해 1년 간의 공개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삼환계 항우울제와 SSRI를 사용한 치료는 이러한 환자에서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우울증 중증도는 Hamilton Scale을 사용하여 평가하고 통증 강도는 VAS(Visual Analogue Scale)를 사용하여 평가했습니다. 환자는 venlafaxine-XR이라는 약물을 장기간 복용했습니다. 벤라팍신-XR의 용량은 1일 1회 225mg의 중앙값으로 3일마다 적정되었습니다. 추가 항우울제 및 아편유사제 진통제의 사용은 허용되지 않았지만 단기 통증 완화를 위한 사이클로옥시게나제-2 억제제의 사용은 허용되었습니다. 우울증+통증 그룹의 환자는 요통, 수술 후 고관절 통증, 골관절염, 섬유근육통, 복합 부위 통증 증후군, 부위 근막 통증, 수근관 증후군, 편두통 및 다발성 신경병증과 관련된 통증 유형의 통증을 경험했습니다. 벤라팍신 사용 후 우울증 환자와 "우울증 + 통증" 환자 그룹 모두에서 Hamilton Depression Scale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했습니다. 또한, "우울증+통증" 그룹의 환자들은 VAS에 따른 통증 수준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11명의 환자는 메스꺼움, 불안, 초조, 성기능 장애와 같은 부작용으로 연구에서 제외되었습니다.

통증을 포함한 다양한 증상에 대한 벤라팍신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5건의 이중 맹검, 위약-무작위 시험에 대한 후향적 분석이 우울증이 없는 범불안 장애 환자에서 수행되었습니다. 벤라팍신 서방성 사용은 위약에 비해 8주 후 및 6개월 치료 후 범불안 장애 환자에서 통증 증상의 유의하게 더 큰 감소를 가져왔습니다.

신경병증성 통증은 중추(뇌졸중 후, 환상 통증, 삼차 신경통) 및 말초 수준(당뇨병성 다발성 신경병증, 대상포진 후 신경통)에서 적절한 신경계의 손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통각수용성 통증과 달리 신경병증성 통증은 진통제(아편유사제 포함) 및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에 잘 반응하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신경병증성 통증 증후군에 대한 1차 약물은 삼환계 항우울제입니다(1차 약물이 카르바마제핀인 삼차 신경통은 제외). 불행히도 빈번한 부작용은 삼환계 항우울제의 광범위한 사용을 제한합니다.

벤라팍신의 효능은 당뇨병성 신경병증 통증, 다발성 신경병증 및 유방암으로 인한 신경병증 통증에서 연구되었습니다.

당뇨병성 신경병증 통증에 대한 벤라팍신 시험은 최대 6주 동안 244명의 비우울증 환자에게 벤라팍신-XR 75mg/일(81명), 150-225mg/일(82명) 또는 위약(81명)을 투여하도록 무작위 배정했습니다. . 연구에 포함된 환자는 연구 전 최소 3개월 동안 중등도 또는 중증 강도(VAS로 측정)의 매일 통증을 경험했습니다. venlafaxine-XR을 150-225mg/day 용량으로 치료한 환자는 위약과 비교하여 치료 3-6주째, 75mg/day를 투여받은 환자와 비교하여 치료 5-6주째에 통증 강도의 현저한 감소를 보였습니다. 가장 두드러진 개선은 치료 6주차에 관찰되었습니다. 이 사실은 벤라팍신의 진통 효능을 적절하게 평가하기 위해 6주간의 치료 과정이 필요함을 나타냅니다.

이 연구에서 가장 흔한 이상반응은 위약군 환자의 5%, 벤라팍신 75mg 군 환자의 22%, 벤라팍신 150-225mg 환자의 10%에서 발생한 오심이었다. 부작용으로 인한 금단율은 벤라팍신 75mg 및 150-250mg으로 치료된 위약 그룹에서 각각 4%, 7% 및 10%였습니다.

무작위, 대조, 이중 맹검, 삼중 교차 연구에서 최소 6개월 동안 지속되는 통증성 다발성 신경병증 환자에서 벤라팍신, 이미프라민 및 위약의 효능을 평가했습니다. 벤라팍신의 용량은 1일 2회 112.5 mg으로, 이미프라민은 1일 2회 75 mg으로 적정하였다. 치료 4주 후에 효능을 평가하였다. 벤라팍신을 투여받은 환자는 위약에 비해 유의한 개선을 보였습니다(p<0,001), достоверных различий в эффективности между группами венлафаксина и имипрамина не было. Частота таких побочных явлений, как сухость во рту и повышенная потливость встречались чаще в группе имипрамина, а усталость чаще встречалась в группе венлафаксина.

유방암 치료 후 신경병증성 통증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한 10주간 무작위 이중 맹검 위약 대조 교차 연구에서 벤라팍신 75mg/day를 사용했습니다. 구두 평가 척도에서 위약과 비교하여 벤라팍신 그룹에서 통증 강도가 유의하게 감소했습니다.

많은 공개 연구와 보고된 벤라팍신 사례는 다양한 유형의 통증에 대한 이 약의 효과를 나타냅니다. 전향적, 위약 대조, 이중 맹검 연구에는 조짐이 있거나 없는 편두통 환자 150명이 등록했습니다(1년에서 4년까지의 질병 기간). 편두통의 예방적 치료에서 벤라팍신, 플루옥세틴, 설트랄린 및 파록세틴의 효과를 비교했습니다. 치료는 3개월 이상 계속되었습니다. 벤라팍신으로 치료받은 상당수의 환자가 위약 및 기타 약물에 비해 상태가 개선되었다고 보고했습니다. 벤라팍신 그룹의 2명의 환자에서 비특이적 부작용으로 인해 치료가 조기에 중단되었습니다.

질병 기간이 2년 이상인 만성 긴장성 두통(만성 긴장성 두통, 전조가 있거나 없는 편두통, 편두통 및 긴장성 두통의 조합)이 있는 97명의 환자에 대한 후향적 분석, 하루 2번 75mg 용량의 벤라팍신 치료 . 분석에 포함된 환자의 37%는 발작 횟수의 감소를 주목했고, 45%는 변화를 찾지 못했고, 18%의 환자는 두통 발작 횟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편두통 및 만성 긴장형 두통의 치료에서 벤라팍신-XR의 효과를 조사한 후향적 공개 연구에서는 두 그룹에서 치료 시작과 비교하여 마지막 방문에서 월별 두통 발작 횟수가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편두통군에서는 월평균 두통발작 횟수가 16.1건에서 11.1건으로 감소했다. 긴장형 두통군에서는 평균 두통 에피소드 수가 24회에서 15.2회로 감소하였다.

N.V. Latysheva와 E.G. Filatov는 만성 매일 두통에서 벤라팍신(Pliva, Velafax)의 효과를 연구했습니다. 이 연구에는 만성 매일 두통이 있는 69명의 환자와 간헐성 편두통이 있는 30명의 환자와 대조군의 15명의 참가자가 포함되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벤라팍신은 두통 발작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고 안전합니다. velafax를 사용한 예방적 치료는 환자 상태의 현저한 임상 개선, 진통제 사용 감소로 이어집니다. 저자에 따르면 약물의 긍정적 인 효과는 이질통의 중증도 감소와 관련이있을 수 있으며 이는 줄기의 기능 상태를 반영하는 깜박임 반사의 R3 구성 요소의 통증 역치의 정상화로 확인되었습니다 중추 감작을 유지하는 데 관여하는 삼차 신경의 구조와 척수 핵.

Venlafaxine은 섬유근육통 치료에도 효과적입니다. M. Dwight et al. 섬유근육통으로 진단된 환자의 60%는 주요 우울 장애 및 범불안 장애가 동반되었습니다. 벤라팍신의 평균 용량은 167mg/일(37.5~300mg/일 범위)이었습니다. McGill Pain Inventory와 VAS를 사용하여 Hamilton Anxiety and Depression Scale을 사용하여 결과를 평가했습니다. 치료의 결과, 연구된 수행 지표에서 상당한 개선이 있었습니다. 가장 흔하게 보고된 부작용은 변비, 구강 건조, 쇠약, 불면증 및 메스꺼움이었습니다.

유방암 수술은 종종 수술 후 신경병증성 통증을 유발합니다. 유방암으로 부분 또는 전체 유방 절제술을 받은 80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무작위 이중 맹검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저자는 유방 절제술 후 통증 증후군에 대한 벤라팍신의 효과를 평가했습니다. 치료는 수술 전날 밤부터 시작하여 수술 후 2주 동안 계속되었습니다. 환자는 venlafaxine 75 mg/day 또는 위약을 받았습니다. 벤라팍신 투여는 유방절제술 후 통증의 발생률을 가슴(28.7 대 8.7%; p=0.002), 겨드랑이(26.5 대 10%; p=0.01) 및 팔(22.5% 대 8.7%, p=0.01)에서 유의하게 감소시켰습니다. =0.002) 위약과 비교. 수술 후 진통, 부종, 환상통, 감각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침해수용성 임펄스 전달은 척수의 후측각판을 통과하는 상승하는 구심성 체성감각, 척수시상 경로를 포함합니다. 이러한 통각수용성 충동은 뇌의 수도관주위 회백질에서 유래하는 하강 억제 경로의 활성화를 통해 조절됩니다. 세로토닌과 노르아드레날린은 모두 하강 억제 기전에 관여하고 척수의 신경화학적 전달 변화에 기여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통각 전달을 강화하고 내인성 엔돌핀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신경 전달 물질인 물질 P의 방출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항우울제의 진통 효과가 항우울제 분자의 고유 진통 특성의 결과이지 항우울제가 우울증 감소 또는 전신 진정을 통한 통증에 대한 간접적 효과가 아니라는 제안을 뒷받침한다.

벤라팍신은 세로토닌 및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입니다. 그들의 메커니즘을 통해 신경병성 통증의 완화가 제공됩니다. Venlafaxine은 무스카린성 콜린성, 히스타민 및 α1-아드레날린성 수용체에 결합하지 않으므로 삼환계 항우울제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많은 부작용을 피할 수 있습니다.

임상 연구에 따르면 벤라팍신은 주요 우울 장애 또는 범불안 장애의 만성 통증 증후군 환자에게 좋은 치료 옵션입니다. 이는 주요우울장애 환자의 40% 이상이 적어도 하나의 통증 증상(두통, 요통, 관절통, 사지 통증 또는 위장관 통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벤라팍신의 사용은 우울증의 수준과 통증 발현의 중증도를 모두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Venlafaxine-XR은 주요 우울, 범불안 및 사회 불안 장애에 대해 75~225mg/일의 용량으로 사용됩니다. 일부 환자의 경우 저용량의 벤라팍신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치료는 37.5mg/day로 시작하여 4-7일에 걸쳐 점진적으로 75mg/day로 증량할 수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벤라팍신의 진통 효과는 우울증과 관련이 없는 기전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벤라팍신은 우울증 및 불안과 관련이 없는 통증 증후군에도 효과적이었습니다. 만성 통증에 대한 벤라팍신의 적응증은 패키지 삽입물에 아직 포함되지 않았지만 이용 가능한 데이터는 75-225mg/day가 대부분의 통증 증후군에 효과적임을 나타냅니다. 무작위 대조 시험의 데이터에 따르면 통증 완화는 치료 시작 1-2주 후에 발생합니다. 그러나 일부 환자는 벤라팍신의 진통 효과가 분명해지기 위해 6주간의 치료 과정이 필요합니다.

통증 치료에서 발견되는 벤라팍신의 가장 흔한 부작용은 메스꺼움입니다. 다른 부작용으로는 초조, 식욕 부진, 변비, 현기증, 구강 건조, 두통, 불면증, 졸음, 성기능 장애 및 구토가 있습니다.

Venlafaxine은 현재 "만성 통증 치료"에 대한 적응증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양한 통증 증후군에서 벤라팍신의 효능, 용량 및 안전성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문학

  1. Latysheva N.V., Filatova E.G. 만성 두통의 새로운 기전: 병인 가설과 치료에 대한 중요성. 주치의 2008; 5:82-84.
  2. Adelman L.C., Adelman J.U., Von Seggern R., Mannix L.K. 편두통 및 긴장형 두통 예방을 위한 벤라팍신 연장 방출(XR): 임상 환경에서의 후향적 연구. 두통 2000; 40:572-580.
  3. 앤더슨 아이엠 우울 입원 환자의 SSRI 대 삼환계 항우울제: 효능 및 내약성의 메타 분석. 우울 불안 1998; 7:11-17.
  4. Ansari A. 만성 통증 치료에서 최신 항우울제의 효능: 현재 문헌 검토. Harvard Rev Psychiat 2000; 7:257-277.
  5. Barkin R.L., Fawcett J. 만성 통증 관리 문제: 항우울제의 역할. Am J Ther 2000; 7:31-47.
  6. Bradley R.H., Barkin R.L., Jerome J. et al. 관련 주요 우울 장애를 동반한 만성 통증의 장기 치료를 위한 벤라팍신의 효능. Am J Ther 2003 10: 318-323.
  7. 데이비스 J.L., 스미스 R.L. 벤라팍신 HCl 연장 방출 캡슐로 치료한 고통스러운 말초 당뇨병성 신경병증. 당뇨병 관리 1999; 22: 1909-1910.
  8. Diamond S. 만성 두통에 대한 벤라팍신의 효능 및 안전성 프로파일. Headache Q Curr Treat Res 1995; 6:212-214.
  9. Dwight M.M., Arnold L.M., O'Brien H. et al. 섬유근육통의 벤라팍신 치료에 대한 공개 임상 시험. 심리학 1998; 39:14-17.
  10. Enggaard T.P., Klitgaard N.A., Gram L.F. et al. 인간의 단일 및 반복 실험 통증 자극에 대한 벤라팍신의 특정 효과. Clin Pharmacol Ther 2001; 69:245-251.
  11. 에르데모글루 A.K.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대증 치료에서 벤라팍신의 효과. Ann Neurol 2002; 52:S64.
  12. 카트팔 G.S. 편두통 관리에서 SSRI의 역할. Headache Q Curr Treat Res 1998; 9:265-266.
  13. Kiayias J.A., Vlachou E.D., Lakka-Papadodima E. Venlafaxine HCl이 고통스러운 말초 당뇨병성 신경병증 치료에 사용되었습니다. 당뇨병 관리 2000; 23:699.
  14. Kirmayer L.J., Robbins J.M., Dworkind M., Yaffe M.J. 1차 진료에서 신체화와 우울증과 불안의 인식. Am J Psychiat 1993; 150:734-741.
  15. Krishnan K.R., France R.D., Pelton S. et al. 만성 통증과 우울증. Ⅱ. 만성 요통 환자의 불안 증상과 우울증의 하위 유형과의 관계. 고통 1985; 22:289-294.
  16. Krishnan K.R., France R.D., Pelton S. et al. 만성 통증과 우울증. I. 만성 요통 환자의 우울증 분류. 고통 1985; 22:279-287.
  17. Kroenke K., Price R.K. 지역 사회의 증상. 유병률, 분류 및 정신과적 동반질환. 아치 인턴 메드 1993; 153:2474-2480.
  18. Kunz N., Goli V., Entsuah R. et al. 벤라팍신 연장 방출을 사용한 당뇨병성 신경병증 통증 관리. Eur Neuropsychopharmaco 2000; 10:389-389.
  19. Lang E., Hord A.H., Denson D. Venlafaxine 염산염(Effexor)은 실험적 단일신경병증이 있는 쥐의 열 통각과민을 완화합니다. 고통 1996; 68:151-155.
  20. Lithner F. Venlafaxine은 심한 통증이 있는 말초 당뇨병성 신경병증 치료에 사용됩니다. 당뇨병 관리 2000; 23:1710-1711.
  21. 린치 M.E. 진통제로서의 항우울제: 무작위 대조 시험의 검토. J Psychiat Neurosci 2001; 26:30-36.
  22. Magni G. 만성 통증 치료에 항우울제의 사용: 현재 증거 검토. 마약 1991; 42:730-748.
  23. Marchand F., Alloui A., Chapuy E. et al. 쥐의 신경성 통증 모델에서 비삼환계 항우울제인 벤라팍신의 모노아민 매개, 아편유사제 독립적, 통각과민 효과에 대한 증거. 고통 2003; 103:229-235.
  24. Marchand F., Alloui A., Pelissier T. et al. 쥐의 빈크리스틴 유발 신경병증에서 벤라팍신의 항통각과민 효과에 대한 증거. 브레인 레스 2003; 980:117-120.
  25. Max M.B., Lynch S.A., Muir J. et al.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통증에 대한 데시프라민, 아미트립틸린 및 플루옥세틴의 효과. N Engl J Med 1992; 326: 1250-1256.
  26. Meoni P. 범불안장애 환자에서 venlafaxine XR 치료 후 증상 개선 패턴. J Clin Psychiat 2001; 62:888-893.
  27. Muth E.A., Haskins J.T., Moyer J.A. et al. 벤라팍신을 사용한 새로운 통증 증후군 치료의 항우울제 생화학적 프로파일. Biochem Pharmacol 1986; 35:4493-4497.
  28. Muth E.A., Moyer J.A., Haskins J.T. et al. Wy-45,233 및 기타 항우울제 벤라팍신 대사물의 생화학적, 신경생리학적, 행동적 효과. 약물 개발 해상도 1991; 23:191-199.
  29. 나시멘토 E.D. 편두통 예방: 42명의 환자에서 벤라팍신을 사용한 공개 연구. Arquivos de Neuro-Psiquiatria 1998; 56:744-746.
  30. Nelson J.C., Mazure C.M., Bowers M.B., Jatlow P.I. 주요 우울증의 신속한 치료를 위한 플루옥세틴과 데시프라민의 조합에 대한 예비 공개 연구. Arch Gen Psychiat 1991; 48:303-307.
  31. Ohayon M., Schatzberg A. 만성 통증을 사용하여 일반 인구의 우울한 이환율을 예측합니다. Arch Gen Psychiat 2003; 60:39-47.
  32. Onghena P., Van Houdenhove B. 만성 비악성 통증에서 항우울제 유발 진통: 39개의 위약 대조 연구에 대한 메타 분석. 고통 1992; 49:205-219.
  33. Pernia A., Mico J.A., Calderon E., Torres L.M. 신경병성 통증의 치료를 위한 벤라팍신. J 통증 증상 관리 2000; 19:408-410.
  34. 루벤 S., 루리 ​​S., 델루카 P., 찰스 G.S. 유방 절제술 후 통증 증후군 예방에 대한 벤라팍신 XR의 수술 전후 투여의 효능. 2002년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 지역 마취 및 통증 의학 학회 27차 회의에서 발표되었습니다.
  35. Rudolph R.L., Feiger A.D. 우울증 치료를 위한 1일 1회 벤라팍신 연장 방출(XR) 및 플루옥세틴의 이중 맹검, 무작위, 위약 대조 시험. J 정동 장애 1999; 56:171-181.
  36. Schreiber S., Backer M.M., Pick C.G. 마우스에서 벤라팍신의 항통각수용 효과는 아편유사제 및 아드레날린성 기전을 통해 매개됩니다. Neurosci Let 1999; 273:85-88.
  37. Simon G.E., VonKorff M., Piccinelli M. et al. 신체 증상과 우울증의 관계에 대한 국제적 연구. N Engl J Med 1999; 341: 1329-1335.
  38. Sindrup S.H., Bach F.W., Madsen C. et al. 통증성 다발성 신경병증에서 벤라팍신 대 이미프라민: 무작위 대조 시험. 신경과 2003; 60:1284-1289.
  39. Smith D., Dempster C., Glanville J. et al.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및 기타 항우울제와 비교한 벤라팍신의 효능 및 내약성: 메타 분석. BrJ Psychiat 2002; 180:396-404.
  40. Songer D.A., 만성 통증 치료를 위한 Schulte H. Venlafaxine. Am J Psychiat 1996; 153:737.
  41. Sumpton J.E., Moulin D.E. 벤라팍신을 사용한 신경병증성 통증의 치료. Ann Pharmacother 2001; 35:557-559.
  42. Tasmuth T., Haertel B., 유방암 치료 후 신경병증성 통증에 대한 Kalso E. Venlafaxine. 에르 J 페인 런던 2002; 6:17-24.
  43. Taylor K., Rowbotham M.C. 벤라팍신 염산염 및 만성 통증. Western J Med 1996; 165:147-148.
  44. Thase M.E., Entsuah A.R., Rudolph R.L. 벤라팍신 또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치료 중 관해율. BrJ Psychiat 2001; 178:234-241.
  45. Uyar M., Onal A., Dogru A., Soykan N. 신경병성 통증의 쥐 모델에서 발 움츠림 역치에 대한 트라마돌-벤라팍신 조합의 항통각수용 효과. 방법 찾기 Exp Clin Pharmacol 2003; 25:361-365.
  46. Vestergaard P., Gram L.F., Kragh-Sorensen P. et al. 최근 도입된 항우울제의 치료 가능성: 덴마크 대학 항우울제 그룹. Psychopharmacol Ser 1993; 10:190-198.
  47. Willis W.D., Westlund K.N. 통증 시스템과 통증을 조절하는 경로의 신경해부학. J Clin Neurophysiol 1997; 14:2-31.
  48. 와이어스 제약. Effexor XR(venlafaxine) 패키지 삽입물 필라델피아, PA, 2003.

조항

의사

Y. Levin, E. Demina, L. Dobrovolskaya, A. Ostroumova

등. 캄차노프

러시아 의학 저널

Kamchatnov P.R., Radysh B.B., Kutenev A.V., Kazakov A.Yu.

러시아 의학 저널

모솔로프 S.N.

러시아 의학 저널

고통을 경험할 수 있는 능력은 변화하는 환경 조건에 대한 살아있는 유기체의 생존, 학습 및 적응을 보장하는 가장 중요한 보호 메커니즘입니다. 통증은 조직 손상을 알려줄 뿐만 아니라 반사 및 행동 반응을 일으켜 손상 효과를 최소화합니다. 국제 통증 연구 협회(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Study of Pain)의 정의는 "통증은 기존 또는 잠재적인 조직 손상과 관련된 불쾌한 감각 및 정서적 경험이거나 그러한 손상으로 설명됩니다."입니다.

실제 조직 손상의 경우, 급성(에피크리틱) 통증 및 과민성(통각과민)이 발생하며, 이는 본질적으로 보호적이며 일반적으로 치유 후 완전히 퇴행하며, 이는 생물학적으로 정당화됩니다. 어떤 경우에는 통증이 조직 치유(예: 혈종, 베임, 찰과상) 전에 퇴행하며 이러한 통증을 일시적이라고 합니다. 조직 손상 후 통증 수용체(통각수용기)의 활성화와 관련되어 조직 손상 정도 및 손상 요인의 지속 시간에 해당하고 치유 후 완전히 퇴행하는 통증을 통각수용성 또는 급성 통증이라고 합니다.

급성 통증과 달리 불쾌한 감각 감각은 치유 후에도 지속되거나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보호 기능이 없지만 고통의 원인이 됩니다. 이러한 통증의 출현은 일반적으로 말초 또는 중추 신경계의 손상과 관련이 있으며 만성적입니다. 만성 통증은 기저 질환에서 "찢어져" "상기관" 특성을 획득한 통증으로 간주됩니다. 국제 통증 연구 협회는 만성 통증을 "정상적인 치유 기간을 넘어 계속되는 통증"으로 정의합니다. 만성 통증의 지속 기간을 평가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국제 통증 연구 협회의 전문가에 따르면 만성 통증의 지속 기간이 3개월 이상인 경우에는 만성 통증을 고려해야 합니다. 그러나 만성 통증과 급성 통증의 주요 차이점은 시간 요인이 아니라 질적으로 다른 신경 생리학적, 정신 생리학적 및 임상적 관계입니다.

신체에는 두 개의 반대 시스템이 존재하며 병렬로 상호 작용합니다. 즉, 통각 수용기(통증 전도)와 항통각 수용기(통의 전도 및 인식 억제)입니다. 통각수용계의 활성화 또는 항통각수용계의 활성 억제에 대한 이 두 시스템 간의 불균형은 만성 통증 증후군의 발병으로 이어집니다.

고통스러운 구심성은 척수시상, 척수망상, 척수뇌뇌 경로를 따라 뇌로 향합니다. 척수시상로 내에서 외측 신척수시상로와 내측 고척수시상로가 구별된다. Neospinothalamic 경로는 신경 자극을 고속으로 전달하고 시상의 복측 핵 복합체에서 끝납니다. 여기서 이 핵의 뉴런을 전환한 후 자극은 체성 감각 피질에 도달합니다. 척수망상 및 척수뇌뇌 경로는 망상 형성, 수도관주위 회백질, 시상하부, 내측 및 층내 시상 핵으로 돌출되어 변연계의 구조와 추가로 통신하고 뇌를 통해 확산됩니다.

또한 통증 구심화는 다른 상승 경로를 따라 수행될 수 있다고 가정합니다. 이러한 경로는 2개의 시스템으로 분류됩니다. 측면은 신척수시상, 후주상, 척수경추 경로를 포함하고, 내측은 고척수시상, 척수망, 척수중뇌 경로로 구성된 다중 시냅스 고유척수 상승 시스템입니다. 측면 시스템은 자극의 특성과 지속 시간을 명확하게 파악하고 평가하여 통증 충동을 신속하게 전달합니다. 내측 다중 시냅스 시스템을 통한 전도는 훨씬 더 낮은 속도로 발생하지만 동기-정동 및 식물-체액 통증 동반과 관련된 다양한 뇌 구조가 광범위하게 관여합니다. 통각 수용 시스템의 말초 부분의 해부학적 및 기능적 특징과 함께 통증 구심화를 수행하는 이 두 가지 시스템은 아마도 소위 epicritical 및 protopathic 유형의 통증 제공의 기초가 될 것입니다. 첫 번째 유형의 통증에 대한 중독이 가능하다는 점, 즉 반복되는 통증 자극 동안 통증을 제거하고 두 번째 (원인성) 구성 요소가 강화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급성 및 만성 통증의 형성에 불평등한 참여를 가정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급성 및 만성 통증에서 일반적인 신체 반응의 형성에 정서적-정서적 및 식물성-신체적 구성요소의 상이한 포함에 의해 뒷받침됩니다.

만성 통증 증후군의 발생에 대한 주요 가설은 들어오는 감각 충동의 중추 변형입니다. 감각 자극의 중추 변형 이론은 대뇌 피질에 대한 감각 자극의 경로를 따라 여러 개의 시냅스가 있으며,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척수의 후각, 줄기 구조, 시상 및 피질입니다. 그 자체. 게이트 제어 이론에 따르면, 위의 각 수준에서 충동은 부수적 축삭뿐만 아니라 통각 및 항통각 시스템의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 경로에서 흥분성 또는 억제성입니다.

척수의 후각 수준에서 작용하는 가장 중요한 신경전달물질은 물질 P(통증 유발)와 메텐케팔린(통증 억제)과 같은 내인성 아편유사제입니다. 신경전달물질인 글리신으로 인해 피질척수로의 억제효과도 가능하다. 이것은 신경병성 통증 증후군에서 바클로펜의 진통 효과의 기초가 될 수 있습니다. 척수의 후각 수준에서는 알려진 모든 진통제 그룹 중 가장 강력한 마약성 진통제가 효과가 있습니다. 마약성 진통제(내인성 아편유사제와 구조가 유사함)의 효과는 구심성 감각 유입이 통각 자극 전달의 척수 수준을 아직 극복하지 못한 급성 통증 발달 단계에서 가장 높습니다. 만성 통증의 경우 아편제는 효과가 없습니다.

뇌간 수준에서 억제 효과는 세로토닌 및 노르아드레날린성 구조입니다. 세로토닌 구조의 중등도 단기 부족은 불안과 통증을 유발하고, 장기적으로 세로토닌이 결핍되면 우울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항우울제 작용이 없는 경우에도 만성 통증 증후군에서 저용량 항우울제의 뚜렷한 진통 효과를 설명합니다. 그러나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에 비해 삼환계 항우울제의 더 큰 효능은 만성 통증의 형성에서 노르아드레날린성 구조의 더 큰 역할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다음 시냅스 수준에는 시상, 변연계, 인접한 피질하 및 피질 뇌 구조가 포함됩니다. 여기에서 위에서 논의한 통증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가 나옵니다. 피질하 구조에서 피질로 통각 정보의 전도에 억제 효과가 있는 신경 전달 물질은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그 중 하나는 γ-아미노부티르산(GABA)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항경련제가 진통 효과가 있는 것은 이 수준에서 가정됩니다.

통증의 만성화는 마지막 피질-피질 시냅스 수준이 구심성 감각 입력에 의해 민감해질 때 발생합니다. 이러한 변형은 6개월 이내에 발생하는 것으로 믿어지며, 개업의는 특정 진통제를 처방할 수 있는 "치료 창"을 제공합니다.

만성 통증 증후군의 주요 특징은 높은 위약 의존성입니다. 이것은 성별, 연령, 국가의 문화적 전통, 양육 및 마지막으로 감정 상태에 따라 고통에 대한 인식의 주관적인 정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만성 통증 치료가 의사에게 극히 어려운 작업인 것은 바로 위약 의존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주로 의사가 가능한 한 환자에게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고, 진심 어린 동정을 나타내고, 신뢰 관계를 구축하고 상호 동정을 형성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암시된 모든 것. 위약의 개념 아래. 어떤 이유로이 모든 것이 불가능한 경우 환자를 즉시 ​​다른 전문가에게 의뢰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기껏해야 진행중인 치료의 배경에 대해 긍정적 인 역학이 없으며 최악의 경우 "nocebo"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효과 (심리적으로 조건화 된 상태의 악화). 그러나 의사와 환자 사이에 공감대 형성이 환자의 회복을 보장할 수는 없다. 위약 효과의 주요 문제는 지속 시간이 짧다는 것입니다. 위약의 진통 효과는 무한정 지속되지 않으며 몇 주 동안 새로운 약물을 복용하면 복용량을 늘려도 통증이 원래 수준으로 돌아갑니다. 이 과정은 약물에 대한 중독이나 내성의 발달로 인한 것이 아니라 플라시보 효과의 기초가 되는 자가 진통의 정신 생리학적 메커니즘의 고갈 때문입니다. 따라서 만성 통증 증후군에 대한 적절한 치료법의 선택은 수개월 동안 늘어날 수 있습니다. 결국 약물이 올바르게 선택되었는지 확인하려면 몇 주가 걸리며 대부분의 경우 위약 효과가 고갈됩니다 .

만성 통증 증후군은 신경계의 다양한 질병에서 나타나며 일반적인 병태생리학적 기전을 통해 발전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하나의 기전이 여러 증상의 발병에 관여할 수 있으며, 다른 환자의 동일한 증상이 다른 병태생리학적 기전과 연관될 수 있습니다. 또한 특정 증상을 유발하는 기전이 질병이 진행되는 동안 변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따라서 만성 통증이 있는 환자의 경우 기저 질환을 유발한 원인이나 증상의 국소화 및 중증도에 따라 통증 증후군의 발병 기전을 판단하기 어렵다. 그러나 병태생리학적 기전의 규명 없이는 통증이 있는 환자의 치료를 위한 최적의 전략을 개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식별은 차례로 임상 증상에 대한 지식과 병리학적으로 입증된 요법의 선택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다양한 병태생리학적 기전과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합니다.

통각 및 항통각 시스템의 설명된 신경생리학적, 신경화학적, 심리적 구성요소에 기초하여 만성 통증 치료에 대한 주요 치료 접근법은 다음과 같이 공식화됩니다.

  • 통증의 정성적 및 정량적 평가. 통증을 동반하는 감각, 운동, 식물, 신체 및 정신 장애의 식별 및 평가.
  • 통증의 발병과 만성화를 예방하기 위한 대증적 진통제 치료의 조기 시작.
  • 병인 및 병변의 국소화, 통증의 원인 및 원인에 대한 영향: 1) 통증의 원인 제거 및 손상된 조직의 회복; 2) 통증의 말초 구성 요소에 대한 영향 - 체성 (염증, 부종 등의 제거) 및 통증 수용체의 신경 화학적 자극제; 이 경우 가장 두드러진 효과는 프로스타글란딘(비마약성 진통제, 파라세타몰,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의 합성에 영향을 미치고 통증을 유발하는 섬유 말단에서 물질 P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약물입니다. 충동 (외용 고추 제제 - 캡사이신, 캡신 등) .
  • 통증 구심성 전도에 대한 영향: 말초 신경 및 후근 결절에서 통증 자극 전도 억제(국소 마취제, 알코올 및 페놀 신경 제거, 말초 신경 절개, 신경절 절제술); 시상의 상응하는 상행로와 핵의 외과적 정위 파괴, 만성적으로 이식된 전극을 통한 후방 기둥 및 다양한 대뇌 구조의 전기 자극.
  • 통증 메커니즘의 결정. 후각에서 일어나는 과정에 대한 영향. 후각에서 물질 P의 농도를 줄이는 고추 제제의 적용 외에도 여러 가지 다른 치료 방법이 사용됩니다.
    1. 전신적 또는 국소적으로(경막외 또는 경막하) 아편제를 도입하여 통증 충동의 엔케팔린성 억제를 증가시킵니다.
    2. 전기 자극 및 기타 물리적 자극 방법(물리 요법, 침술, 경피적 전기 신경 자극, 마사지 등)은 엔케팔린성 뉴런을 활성화하여 후각의 침해수용성 뉴런의 억제를 유발합니다.
    3. 후각 뉴런(baclofen, sirdalud, gabapentin)의 흥분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GABA성 구조에 작용하는 약물의 사용;
    4. 항 경련제 (carbamazepine, diphenin, lamotrigine, valproates 및 benzodiazepines)의 사용은 감각 신경을 따라 신경 자극의 전도를 억제하고 후각 신경 세포 및 척수 핵 세포의 GABA 성 수용체에 작용 효과가 있습니다. 삼차신경. 이 약물은 특히 신경통에 효과적입니다.
    5. 약물 작용제의 사용 α 2 -아드레날린 수용체 - 클로니딘 등;
    6. 뇌간의 망상 형성 핵에서이 신경 전달 물질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세로토닌 재 흡수 차단제의 사용은 후각 (Prozac, fluoxetine, amitriptyline)의 중간 뉴런에 영향을 미치는 내림차순 억제 경로를 따라 내려갑니다.
    7. 근본적으로 새로운 종류의 약물 사용 - SNEPCO(Selective NEuronal Potassium Channel Opener - 선택적 뉴런 칼륨 채널 오프너)는 NMDA 수용체(플루피르틴, 카타돌론);
    8. NMDA 수용체 길항제의 사용, 통증 기억 "지우기"(케타민, 덱스트로메토르판).
  • 통증 인식에 미치는 영향: 향정신성 약리학적 약물(항우울제, 진정제, 항정신병제) 사용 시 통증의 심리적(및 동시에 신경화학적) 구성요소에 대한 영향; 심리 치료 방법의 사용.
  • 수반되는 장애에 대한 영향: 영양적으로 유지되는 만성 통증 증후군에서 교감 신경 활성화 제거, 예를 들어 홍색성 통증, 복합 부위 통증 증후군 등에서(교감신경 용해제, 교감신경절제술); 신경병증성 통증에서 신경 섬유를 따라 구심성 전도의 정상적인 패턴 회복(대사 요법 - 비타민 B, L-카르니틴, 혈관 요법 - 항산화제, 항혈소판제, 혈관 활성 약물 등).

현재 인기를 얻고 있는 "근거 기반 의학"의 개념은 이중 맹검, 무작위, 위약 대조 시험의 결과를 기반으로 하는 만성 통증 치료에 대한 표준화된 임상 접근 방식을 요구합니다. 그러나 현재 만성 통증 증후군에서 약물의 효과에 대한 몇 가지 연구만이 위의 요구 사항을 충족합니다. 만성 통증 증후군에 대해 제안된 진통 요법의 범위는 최근 몇 년 동안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 신약은 부작용이 현저히 적지만 진통 효과 측면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삼환계 항우울제 및 항경련제를 능가하지 않는 반면 이러한 약물로 치료하는 비용은 훨씬 높습니다. 문헌 데이터의 메타 분석에 따르면 저자의 가장 많은 수가 삼환계 항우울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덱스트로메토르판 및 카바마제핀, 덜 효과적인 약물은 트라마돌 및 레보도파, 가바펜틴 및 캡사이신, 마지막으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및 나트륨 채널 차단제가 마지막 장소. 만성 근골격계 통증 치료에 높은 효능을 보이는 새로운 종류의 SNEPCO 물질에 큰 희망이 있습니다. 만성 신경병성 통증 증후군과 관련된 치료 가능성을 명확히 해야 합니다.

이러한 방법은 특정 임상 상황에 따라 개별적으로 사용하거나 더 자주 신경성 통증과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통증 문제의 다른 측면은 환자를 관리하는 전술입니다. 현재까지의 경험은 입원 환자 또는 외래 환자 유형의 전문 센터에서 만성 통증이 있는 환자의 검사 및 치료의 필요성을 입증했습니다. 통증의 유형과 기전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유사한 기저 질환이 있더라도 신경과 전문의, 마취과 의사, 심리학자, 임상 전기 생리학자, 물리 치료사 등 다양한 전문가의 진단 및 치료에 참여할 필요가 있습니다. 통증의 이론 및 임상 문제 연구에 대한 포괄적 인 학제 간 접근은 우리 시대의 긴급한 문제, 즉 통증과 관련된 고통에서 사람들을 구출할 수 있습니다.

A. N. 바리노프, 의과학 후보자
MMA 그들. I. M. Sechenov, 모스크바

8720 0

아미트립틸린(Amitriptyline)

정제, 당의정, 캡슐제, 정맥주사 및 근육주사용액, 근육주사용액, 코팅정

약리학적 효과:

항우울제(삼환계 항우울제). 또한 일부 진통제(중심 기원), H2-히스타민 차단 및 항세로토닌 작용이 있어 야뇨증을 없애고 식욕을 감소시킵니다. m-콜린성 수용체에 대한 높은 친화력으로 인해 강력한 말초 및 중추 항콜린 효과가 있습니다. H1-히스타민 수용체에 대한 친화성 및 알파-아드레날린성 차단 작용과 관련된 강력한 진정 효과.

그것은 치료 용량의 퀴니딘과 같이 하위 그룹 Ia의 항부정맥제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심실 전도를 늦춥니다(과용량의 경우 심각한 심실 내 차단을 유발할 수 있음).

항우울제 작용의 메커니즘은 시냅스의 노르아드레날린 농도 증가 및/또는 중추 신경계의 세로토닌 농도 증가(재흡수 감소)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러한 신경 전달 물질의 축적은 시냅스 전 뉴런의 막에 의한 재흡수 억제의 결과로 발생합니다. 장기간 사용하면 뇌에서 베타 - 아드레날린 성 및 세로토닌 수용체의 기능적 활동을 감소시키고 아드레날린 성 및 세로토닌 성 전달을 정상화하고 우울한 상태에서 방해받는 이러한 시스템의 균형을 회복시킵니다.

불안-우울 상태에서 불안, 초조 및 우울 증상을 감소시킵니다.

항궤양 작용의 기전은 위벽 세포에서 H2-히스타민 수용체를 차단하는 능력과 진정 및 m-항콜린 작용(위궤양, 십이지장궤양의 경우 통증완화, 궤양의 치유를 촉진합니다).

야뇨증의 효능은 항콜린성 활성으로 인한 방광 팽창성 증가, 직접적인 베타-아드레날린성 자극, 괄약근 긴장도 증가와 함께 알파-아드레날린성 작용제 활성 및 세로토닌 흡수의 중심 차단으로 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중추 진통 효과는 중추 신경계, 특히 세로토닌의 모노아민 농도 변화 및 내인성 아편유사제 시스템에 대한 영향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

신경성 폭식증의 작용 기전은 불분명합니다(우울증과 유사할 수 있음). 우울증이 없고 우울증이 있는 환자의 폭식증에 대한 약물의 분명한 효과가 표시되는 반면, 우울증 자체의 수반되는 약화 없이 폭식증의 감소가 관찰될 수 있습니다.

전신마취 시 혈압과 체온을 낮춥니다. 억제하지 않는다

마오. 항우울제 작용은 사용 시작 후 2-3주 이내에 나타납니다.

사용 표시

우울증(특히 아동기, 내인성, 발달성, 반응성, 신경증, 약물, 기질적 뇌 손상 포함, 불안, 초조 및 수면 장애 포함), 정신분열증 정신병, 혼합 정서 장애, 행동 장애(활동 및 주의력), 야행성 야뇨증(방광 저혈압 환자 제외), 신경성 폭식증, 만성 통증 증후군(암 환자의 만성 통증, 편두통, 류마티스 질환, 얼굴의 비정형 통증, 대상 포진 후 신경통, 외상 후 신경 병증, 당뇨병 또는 기타 말초 신경 병증), 두통 , 편두통(예방), 위와 십이지장의 소화성 궤양.

벤라팍신(Venlafaxine)

정제, 연장 방출 캡슐, 변형 방출 캡슐

약리효과

항우울제. 벤라팍신과 그 주요 대사물인 O-데스메틸벤라팍신은 강력한 세로토닌 및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와 약한 도파민 재흡수 억제제입니다.

항우울제 작용의 메커니즘은 중추 신경계에서 신경 자극의 전달을 향상시키는 약물의 능력과 관련이 있다고 믿어집니다.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에서 벤라팍신은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보다 열등합니다.

사용 표시

우울증(치료, 재발 방지).

둘록세틴(둘록세틴)

캡슐

약리효과

세로토닌과 노르아드레날린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중추신경계에서 세로토닌과 노르아드레날린 신경전달을 증가시킵니다. 히스타민성, 도파민성, 콜린성 및 아드레날린성 수용체에 대한 상당한 친화력 없이 도파민의 흡수를 약하게 억제합니다.

둘록세틴은 통증을 억제하기 위한 중심 기전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주로 신경병성 병인의 통증 증후군에서 통증 민감도 역치의 증가에 의해 나타납니다.

사용 표시

우울증, 당뇨병성 말초 신경병증(통증 형태).

플루옥세틴(Fluoxetine)

정제

약리효과

항우울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기분을 개선하고 긴장, 불안 및 두려움을 줄이며 불쾌감을 제거합니다. 기립성 저혈압, 진정, 비심장독성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치료 1-2주 후에 안정적인 임상 효과가 나타납니다.

사용 표시

우울증, 폭식성 신경증, 강박 장애, 월경 전 불쾌감.

알.지. 에신, OR 에신, G.D. 아크마데바, G.V. 살리코바

초기 의료 도움을 요청한 데이터에 따르면 우울증으로 고통받는 환자의 최대 80%는 두통, 복부 통증, 등, 관절 및 목의 근육통과 같은 독점적인 신체적 특성을 호소합니다. . 많은 경우 우울증 장애의 유일한 징후일 수 있지만 우울증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고통스러운 신체 증상이 이 질병 진단 지침에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이유는 무엇입니까?

이에 대한 한 가지 가능한 이유는 이러한 종류의 불만이 일반적으로 특히 치료 실습에서 의학적 상태에 기인한다는 것입니다. 불만이 증가된 피로, 힘의 상실 및 고통스러운 신체 징후로 제한되고 명확한 정서적 및 자율적 증상이 없는 경우 많은 의사가 신체 병리학을 찾는 데 종종 지치는 경향이 있습니다. 차례로, 환자가 우울 또는 불안 장애가 있다는 의심은 일반적으로 그의 불만이 주로 심리적 또는 감정적이라는 조건에서 발생합니다. 또 다른 흔한 실수는 우울증 환자에 대한 치료의 목표가 차도를 달성하기보다는 단순히 상태를 개선하는 것입니다. 현재 우울증 환자에게 권장되는 치료 표준은 모든 증상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입니다. 정서적, 식물적뿐만 아니라이 질병의 고통스러운 신체 증상도 있습니다.

항우울제는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향정신성 약물 그룹입니다. 몇 가지 수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따라서 지난 15년 동안 지난 2년 동안 벤라팍신(venlafaxine)과 둘록세틴(duloxetine)을 포함하여 11개의 혁신적인 항우울제가 국내에 등록되었습니다.

현재, 모노아민 이론에 기초한 항우울제의 최소 10가지 클래스가 확인되었습니다. 그들은 화학 구조에 따라 분류됩니다 - 삼환계 항우울제(아미트립틸린, 멜리프라민, 클로미프라민 등), 특정 또는 선택적 작용 기전 - MAO 억제제(MAOI - 페넬진), 가역적 A형 MAO 억제제(모클로베미드, 피린돌), 선택적 억제제 역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플루복사민, 플루옥세틴, 파록세틴, 세르트랄린, 시탈로프람, 에스시탈로프람), 선택적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레복세틴),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티아넵틴), 노르에피네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및 및 도파민(부프로피온), 노르아드레날린성 및 특정 세로토닌성(미르타자핀) 및 세로토닌 길항제 및 재흡수 억제제(네파조돈).

많은 연구에서 우울증 치료에 사용되는 이중 작용 항우울제(선택적 세로토닌 및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가 삼환계 항우울제(아미트립틸린, 클로미프라민) 및 벤라팍신 또는 항우울제 조합과 같은 이중 작용 항우울제와 같은 만성 통증 치료에도 효과적일 수 있음이 나타났습니다. 세로토닌성 및 노르아드레날린성 효과가 있는 이 약은 주로 하나의 신경 전달 물질 시스템에 작용하는 항우울제와 비교하여 더 큰 치료 효능을 입증했습니다.

이중 작용(세로토닌성 및 노르아드레날린성)은 만성 통증 치료에 보다 뚜렷한 효과를 나타냅니다.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은 모두 통증 감수성(DNP)의 하강 경로를 통해 통증 조절에 관여합니다. 이것은 만성 통증 치료를 위한 이중 작용 항우울제의 이점을 설명합니다. 항우울제가 진통 효과를 일으키는 정확한 작용 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중 작용 기전을 가진 항우울제는 모노아민 시스템 중 하나만 작용하는 항우울제보다 진통 효과가 더 깁니다.

삼환계 항우울제(아미트립틸린)와 노르에피네프린 및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벤라팍신, 둘록세틴)는 만성 통증 환자의 치료에서 가장 큰 효능을 보였고 이들의 진통 효과는 항우울 특성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지 않습니다.

통증 증후군 치료에서 가장 선호되는 것은 아미트립틸린입니다. 그러나 상당한 금기 사항이 있습니다. 삼환계 항우울제의 주요 작용 기전은 노르아드레날린과 세로토닌의 재흡수를 차단하는 것이며, 이는 시냅스 틈에서 양을 증가시키고 시냅스 후 수용체에 대한 효과를 향상시킵니다. 또한 아미트립틸린은 말초신경섬유와 신경막의 나트륨 채널을 차단할 수 있어 이소성 충동 생성을 억제하고 신경 흥분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삼환계 항우울제의 부작용은 베타 아드레날린성, 항히스타민제(HI) 및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차단으로 인해 특히 노인 환자에서 사용이 크게 제한됩니다.

그들은 또한 오피오이드 진통제, MAO 억제제, 항응고제, 항부정맥제 등과 바람직하지 않은 상호작용을 합니다. 아미트립틸린은 급성 및 만성 신경병성 통증 증후군뿐만 아니라 만성 요통, 섬유근육통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증 치료를 위한 약물의 유효 용량은 우울증 치료에 사용되는 용량보다 낮을 수 있습니다.

Venlafaxine은 최근 우울증과 관련되거나 동반되지 않은 통증 증후군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저용량의 벤라팍신은 세로토닌의 재흡수를 억제하고 고용량에서는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억제합니다. 벤라팍신의 주요 진통 기전은 알파2 및 베타2 아드레날린 수용체와의 상호작용 때문입니다. 항통각 수용 시스템의 활동 조절(등줄 핵, 수도관 주위 회백질, 청색 반점). 현재까지 다양한 통증 증후군의 치료에서 벤라팍신의 높은 임상 효능에 대한 설득력 있는 데이터가 축적되었습니다. 임상 연구에 따르면 벤라팍신은 주요 우울 장애 또는 범불안 장애의 만성 통증 증후군 환자에게 좋은 치료 옵션입니다. 이는 주요우울장애 환자의 40% 이상이 적어도 하나의 통증 증상(두통, 요통, 관절통, 사지 통증 또는 위장관 통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벤라팍신의 사용은 우울증의 수준과 통증 발현의 중증도를 모두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Venlafaxine-XR은 주요 우울, 범불안 및 사회 불안 장애에 대해 75~225mg/일의 용량으로 사용됩니다. 일부 환자의 경우 저용량의 벤라팍신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치료는 37.5mg/day로 시작하여 4-7일에 걸쳐 점진적으로 75mg/day로 증량할 수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벤라팍신의 진통 효과는 우울증과 관련이 없는 기전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관련하여 벤라팍신은 우울증 및 불안과 관련이 없는 통증 증후군에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 만성 통증에 대한 벤라팍신의 적응증은 패키지 삽입물에 아직 포함되지 않았지만 이용 가능한 데이터는 75-225mg/day가 대부분의 통증 증후군에 효과적임을 나타냅니다. 무작위 대조 시험의 데이터에 따르면 통증 완화는 1-2주 후에 발생합니다. 치료 시작 후. 일부 환자는 벤라팍신의 우수한 진통 효과를 얻기 위해 6주간의 치료 과정이 필요합니다.